그리움

중경 하늘

chemica 2014. 1. 19. 01:46

IMG_8696

10일 저녁 .. PM2.5 81

IMG_8823

13일 저녁 PM2.5 76

IMG_8883

16일 저녁 PM2.5 161

 

아침 저녁으로 담는 풍경에 PM2.5 를 담는다.

발생원과 기후 조건으로 미세먼지는 더 심각해지고 ..

 

일년전 비슷한 장소

IMG_9726

일년전에 시운전 진행 즈음엔 PM2.5 농도가 이렇게 심하지는 않았지. 멀리 목성도 보일 정도 이니..

IMG_9927

일년즘 전엔 이랬다구 .. 물론 맑은 날이었겠지만 .. PM 못 느낄 ..

우리 장비 놓으면서 .. 중경의 하늘이 더 파래지기를 바랬는데 ..

하여튼 올 들어서는 매우 심각한 수준 ..

 

최근 중국 여행 하면서 .. 점검 하늘이 검은색이 되가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..

지난 여름 소주 더울 즈음에도 .. 그 검은 그림자가 상공 5000~6000m 까지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지..

광화학 반응의 일종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.. 그게 다 PM 이었던 거야 ..

물론 온실효과 같은 물리적 반응은  .. 지면을 더 달구어 .. 작년처럼이나 ..더운 여름을 만들고,

작년 가을 Jiangsu 성에 안개와 농무로 긴 시간 시달린 것도 .. 결국 PM 으로 귀결되는 듯 ..

 

이 PM 증가가 계속되면 .. 올 봄 .. 다시 강한 스모그가 중경, 남경, 북경에서 지속할 것이고, 여름은 작년 못지 않은 더운 여름이 되겠다.

 

온난화가 먼저인 것 보다, PM 발생이 온난화를 더 부축이고, 강수량과 일조에 영향을 주면서 더 살기 힘들게 하는 게지.

 

몇 해 지나면 .. 중국에는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 증후군이 더 심하게 나타날 것이고, 그렇게 세계의 굴뚝으로 역할을 하겠지.

 

사실 우리 설비는 죄없다. 원료 물질의 1.5%는 S 이니, 이것이 결국 열산화 반응을 통해 SO2로 배출될 것이고, 탈황module 로 포획되지 않는다면 .. 결국 SO2 이온 등의 형태로 배출되는 것이지.

다행이 너희 하늘에 습도가 많아 너희 땅으로 떨어지는 것이 더 많겠다만 ..

 

PM 발생은 강수패턴과 인구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. 인구밀도는 또한 이동 발생원이 많다는 이야기 이고 ..

중경, 남경, 북경은 이러한 조건을 잘 갖추고 있어..

결국 정책적으로 인구밀도를 훨씬 줄일 때.. 우리나라 수준으로 돌아올 게다.

  

============

두번째 이야기

난 참 열심히 일하고, 단계 단계 결과물을 만들어 내려고 노력 했거든 ..?

그런데 너희들은 나를 결국 작업자 취급하는 구나 ..

 

내가 작업자가 아니고 .. 과학자란 생각이 들게 해 줄께 ..

너희 집단 이기에 결국 내가 희생이 되겠지만, 얼만큼인가 그 역할이 중요한 지 생각도 안해 보았지 ..?

이제 하게 해 줄께 ..

..

너희에겐 더할 나위 없이 귀중한 사항이라는 것을 알게 될거야 .. ^^

 

또라이 새끼들 ..

이제 내가 주는 데이타 구경하기 쉽지 않을 껄 ..

너희에게는 어울리지 않아 . ^^

 

구걸하면, 한 두 페이지 보여 줄께 ..

..